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3. AMAZON 기업분석

기업 분석

by E_ONION 2020. 12. 17. 21:26

본문

 Product

1. 리테일(아마존닷컴 : 쇼핑몰) : 유통(물류)

2. 프라임(OTT, E-book) : 영화, 드라마 제작

3. AWS(클라우드) : 스트리밍, 1인 방송
1. 장점

- 배송

- 클라우드 사업 호조

- 전자상거래 시장의 절반 가량 책임(2017)

- 아마존의 S팀과 제프 베이조스의 특별한 경영방식, 별다른 스캔들이 없음(신뢰성 ↑)
➔ 시가 총액 1위의 비결

- 고객의 데이터 다량 보유
2. 단점

- FBA 시장에서 리테일 산업
  - 6개월 이상 보관시 장기 보관료 발생
  - 반품에 대한 제어 불가
  - 고객에게 압도적으로 유리한 반품 정책
  - 포장 허접함
  - 무게가 좀 나갈 경우 직배송 요금 상당함
  - 배송 느리다, 배송비 저렴한 만큼 감안

- 프라임 산업
  - 작품의 타이틀 교체가 자주 일어남 EX) 유료화
  - 새로운 작품의 업뎃 느림(콘텐츠 부족)
  - 전부 무료는 아님
  - 자막 언어 문제점

 Customer

  주 고객 특성

1. 리테일
- 목표가 명확한 쇼퍼
- 쇼핑몰을 둘러보는 쇼퍼
- 꼼꼼히 계획하고 구매하는 쇼퍼
- 세일 타겟 쇼퍼
- 단발성 쇼퍼
- 가격 추구형
- 프리미엄 상품 추구형
- 구메 상품 추구형
- 구매 혜택 추구형
- 탐색 활동형
- 모바일과 PC에서 전혀 다른 행동을 하는 쇼퍼들

2. 프라임
- 가격 대비 성능 좋은(가격, 화질, 다운로드, X-ray 기능) OTT 서비스 찾는 고객
- 만 개 이상의 작품 무료 시청으로 방대한 작품 원하는 고객
- 풍부한 지원 장치 필요한 고객(오리지널 작품 재밌음)
- 추천기능을 잘 활용하는 고객

3. 클라우드
- 클라우드의 개방성과 유연성, 민첩성 즉각적 융통성, 보안 생각하는 고객
- 많은 고객 데이터와 경험을 보유하여 수준 높은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하는 고객
- 10년 넘게 사업을 지속하며 쌓아온 방대한 인프라를 필요로 하는 고객

 Financial State

1. 매출, 영업이익, 순이익

[출처] : kr.investing.com/

- 총 매출 : 우상향

- 총 이익 : 우상향

- 영업 이익 : 16 -> 17년 감소
-> 매출 원가 OR 판매비, 관리비 등 영업과 관련된 비용이 증가하여 감소한걸로 추정함
-> 감소 원인 아시는 분은 댓글 남겨주세요!!
-> 추첨 통해 칭찬 도장 드려요!

- 순 이익 : 우상향

 Competitor

1. 차별화 전략(차별화 포인트)

㉠ 인프라 선택의 자유
- 고객이 원하는 것을 파악하고 이를 실제로 제공할 수 있는 것이 AWS의 경쟁력
- 방대한 인프라 규모(고객이 인프라의 종류도 직접 선택할 수 있도록 해 선택의 폭을 넓힘)
-> 고객들이 서버 임대 시 인텔과 AMD 서버 가운데 선택할 수 있게 함 -> 인텔 서버만 제공하는 경쟁사와 차별화

다양한 DB

㉢ 자동화된 기계학습(머신러닝) 플랫폼

실용적인 인공지능 서비스

고객 중심의 서비스

데이터 서비스를 통한 소비자 정보의 수직적 통합이 가능한 유일한 플랫폼(아마존은 실제로 소비자가 무엇을 구매하는지에 대한 가장 많은 정보를 가지고 있음)

소비자의 본능에 소구하는 아마존

㉧ 아마존만의 브랜드 구축(온/오프라인 플랫폼을 만든 유일한 회사)
2. 진입장벽 / 경쟁 우위 전략

- 아마존의 레버리지 전략(쇼핑몰)

- 원가 우위 전략

- 데이터 서비스를 통한 소비자 정보의 수직적 통합이 가능한 유일한 플랫폼(아마존은 실제로 소비자가 무엇을 구매하는지에 대한 가장 많은 정보 가지고 있음)

- 클라우드 서비스에서 타 경쟁사보다 약 두배 많은 경험 및 초기 클라우드 시장 선점으로 압도적인 점유율(절반)

 Future Direction

1. 미래 성장 동력

- 클라우드 서비스

- 운송 서비스

- OTT(스트리밍 서비스)

- 광고 사업
2.  진출 시장

- 운송 서비스(페덱스에서 더 이상 아마존 제품 취급 X)
-> 경쟁체제로 돌입

- 프라임(스트리밍) 서비스

- 광고 사업

- 은행 사업

- 헬스케어 사업

- 아마존 파머시(온라인 약국)

 SWOT

Strengths

1. 리테일 사업
- 신뢰도, 합리적인 가격, 다양한 선택폭
- 효과적인 제휴 관계
- 새로운 고객의 유입
- 광범위한 소비자 도달 범위
- 직배송비만 지불하면 해외배송 1주일이면 가능
- 통큰 고객서비스(분실 지연 파손 초기불령 문제)
- 라이브 챗

2. 프라임 사업
- 가격 대비 성능 좋음(가격, 화질, 다운로드, X-ray 기능)
- 만 개 이상 작품 무료 시청
- 지원 장치 풍부, 오리지널 작품 재밌음
- 추천기능 사용자 리뷰 유용

3. 클라우드 사업
- 고객사에 엔드 투 엔드 솔루션 제공 기술, 리소스 동기를 가지고 있음
- 저렴한 비용(기존 온프레미스 보다는 저렴하지만, 타 클라우드 서비스에 비해 엄청나게 저렴한 편은 아님)
- 개방성과 유연성, 민첩성, 즉각적 융통성, 보안
- 많은 고객 데이터와 경험(12년 으로 타 업체 두배)
- 10년 넘게 사업을 지속하며 쌓아온 방대한 인프라 규모

4. 광고 사업
- 아마존의 방대한 고객정보로 아마존 생태계 속에서 맞춤형 광고 가능

5. 운송 산업
- 운송 업체 1위인 페덱스와 경쟁 모드 돌입
Weaknesses

1. 리테일 사업
- 판매 수수료
- 포장 허접
- 무게로 인한 높은 직배송 요금
- 배송 느림
- 보안 허술

2. 프라임 사업
- 작품의 타이틀 교체가 자주 일어남 ex) 유료화
- 새로운 작품의 업데이트 느림(컨텐츠 부족)
- 부분 무료 서비스
- 자막 언어 문제점

3. 클라우드 사업
- 광범위한 영향력에 대한 주의 필요(개발자 분열)
- 광범위한 제품을 공급하는 반면 제품간 결합은 약함
- 사용 어려움
-> AWS가 꾸준히 혁신하면 고객도 그에 따라 새로운 기능과 플랫폼으로 게속해서 업그레이드 해야함, 문제는 고객이 이 속도를 못 따라갈 경우 생김
- 생각보다 비싼 비용
- 점점 커지는 클라우드 의존도
- 데이터 보관의 불안함
- 가격 정책이 복잡함
Opportunity

- Online Retailer의 산업 선도자

- 우월한 브랜드 네임 Value

- 인터넷 상거래의 폭발적인 성장

- 인터넷 거래에 대한 소비자 인지도 상승
Threats

- 치열한 경쟁상황

- 대형 유통사들의 온라인 진출

- 오프라인 고객의 동기유발 저조

 기타 주요 이슈

➔ LG화학이 세계최대 이커머스 아마존에도 배터리를 공급함, 아마존의 물류 로봇에 탑재되는 배터리 공급사로 LG화학 선정(20.09.19)

➔ 아마존 드디어 온라인 약국(아마존 파머시 출시) -> 온라인 사업 시작 -> 웹사이트와 모바일 앱에서 처방약을 주문하면 배달로 처방약을 받을 수 있음(20.11.12)

➔ SK텔레콤이 아마존과 이커머스 사업혁신을 위해 협력 -> 11번가에서 아마존 상품 구매 가능(20.11.21)

* 아직 많이 부족한 기업분석 추가해야 하는 내용이나 수정해야하는 내용 있으면 언제든지 댓글 달아주세요!

- 추첨을 통해 칭찬 도장 찍어드려요

* 다음 기업은 GOOGLE 입니다!

'기업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4. Google ( Alphabet ) 기업분석  (2) 2020.12.25
2. Microsoft 기업분석  (0) 2020.12.11
1. AT & T 기업분석  (0) 2020.12.03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