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roduct
1. Productivity & Business Process(Office Commercial and Consumer, LinkedIn, Dynamics) 2. Intelligent Cloud 3. More Personal Computing(Windows, Device, Gaming) |
1. 장점 - 매출은 크게 3가지 사업분야에서 나온는데 비중이 어느 한 곳에 치우쳐 있지 않고 동등하게 30% 이상을 차지하고 있어 매출 구조가 비교적 안정적 - 2018년 대비 성장 - 특히 클라우드 서비스는 21%나 성장하여 AWS의 맞수로 떠오르는 중 - 2019.04 아마존 애플에 이어 세 번째로 시총 1조원 돌파 |
2. 단점 - Bing과 MSN이 운영하는 온라인 사업부는 12개월 동안 26억 달러 손실 // 구글이 전세계 시장 80% 선점 - 애저의 가용성 영역이 부족해 인스턴스 확장 어려움 - 구형 OS의 보안 취약점( ex. Windows 7) - 스마트폰 시장에서의 윈도우 폰 실패 - MS의 Internet explorer가 Firefox, Chrome에 점유율 상당히 뻇김 - 서피스프로7 리뷰 : 썬더볼트 미지원, 외부 포트2개, 키보드 별도 구매로 -> 경쟁력 떨어짐 |
㉡ Customer
● 주 고객 특성 1. Productivity & Business Process(Office Commercial and Consumer, LinkedIn, Dynamics) - 오피스(엑셀, 엑세스, 워드 문서작업 이용 고객) -> 클라우드 서비스까지 필요한 고객 - 커리어 개발에 유용한 정보와 플랫폼을 필요로하는 고객(LinkedIn) -> 연동서비스 2. Intelligent Cloud - 오피스 365 라이선스가 필요한 클라우드 고객 -> 클라우드 1년 구독 시 오피스 365 이용가능 상품 - PaaS, IaaS 두 가지 모두 제공 - 가동성이 좋은 강력한 글로벌 데이터 센터를 갖춘 클라우드 필요 고객 - 오픈플랫폼으로 다양한 OS, DB 지원 필요 고객 - 온프레미스와 클라우드 하이브리드 구성 필요 고객 3. More Personal Computing(Windows, Device, Gaming) - 서피스 북 고객 / 윈도우 OS 고객 - 게임 : 감성은 딸리고 투박해도 다양한 기기(PC, 모바일에 콘솔까지) 아우를 수 있는 장점 + 게임 ip 확보라는 경쟁력 |
㉢ Financial State
1. 매출, 영업이익, 순이익![]() [출처] : kr.investing.com/ |
- 이익 양호 : 강력한 기술력을 바탕으로 꾸준히 높은 이익률을 기록함 // 최근 5년 간 이익률 상승 - 당기 순이익 17-18 감소 -> 영업 외 수익 + 영업 외 손실 + 법인세 비용 = 적자 - 현금 매우 양호 : 지속적인 기술 기업 인수합병에도 현금성 자산이 매우 많음 - PER / PSR 유의 -> 상장성을 고려했을 떄 PER과 PSR을 지속적으로 유의해서 관찰 필요 // https://jusik.shop/msft13.html |
㉣ Competitor
1. 차별화 전략(차별화 포인트) - 사티아 나델라는 모바일 퍼스트 클라우드 퍼스트라는 MS 비전 제시 -> MS업을 플랫폼과 생산성을 제공하는 회사로 재정의 - 클라우드 서비스에 집중(그 중 시장 파이가 큰 SaaS 부분에 집중 투자) - 기존 단품 파냄해 왔던 오피스를 클라우드 시장에 맞춰 협업 클라우드 솔루션으로 확대 - 인맥관리 플랫폼 링크드인을 31조에 인수 -> 방대한 DB 기반으로 클라우드 서비스에서 정보서비스 가능하도록 하여 인공지능 서비스 코타나의 잠재력 높임 - IoT를 조금 더 쉽고 단순하게라는 전략으로 개발한 아키텍쳐를 공급함으로써 기업이 차별화에 집중(대부분 IoT 도입에 있어 초기에 개발하다 시간 소모 많이 함) |
2. 진입장벽 / 경쟁 우위 전략 - 전 세계 50개의 MS AZURE 전용 리전을 운영해 150개국에서 이를 이용할 수 있도록 단기간 내 투자 확대 - 인공지능 투자(링크드인, 코타나) - MR(혼합현실), 양자컴퓨팅 투자로 시가총액 순위권 탈환 및 유지하려는 계획 - 사티아 나델라가 MS문화를 개방적으로 바꿈 -> 오픈소스 중심(깃 허브) - 경쟁력있는 가격 서비스와 라이선스 정책으로 고객 확보 계획 - SW 구독 패키지나 기업시장서 이미 확보한 관계 최대한 활용 |
㉤ Future Direction
1. 미래 성장 동력 - 클라우드 서비스에 집중(그 중 시장 파이가 큰 SaaS 부분에 집중 투자) - MR(혼합현실) - 인공지능 투자 - 양자 컴퓨팅(향후 강력한 차별화를 도모하는 전략기술로 육성) - IoT 사업 |
2. 새 진출 시장 - 인공지능 - 양자컴퓨팅 - MR - IoT - 5G 통신 시장으로 확장 - 게임회사 9조 인수(제니맥스) - 게임 스트리밍 서비스(클라우드 기반) |
㉥ SWOT
Strengths 1. Productivity & Business Process - CEO 사티아 나델라의 지휘 아래 MS오피스를 유연하게 MAC, IOS 및 안드로이드에도 출심함으로써 윈도우 독점 전략 폐기함과 더불어, WSL이라는 이름으로 리눅스 환경을 포용하고 클라우드 투자를 한 전략이 크게 성공 - 코로나 언컨택트 시대에서 스카이프에 투자 중 - 틱톡 인수 - MS 성장률이 아마존 구글 등 다른 경쟁사에 비해 가장 높음(정유사, 통신사 금융기관 등 대현 기간 사업자 들에게까지 인프라 공급해주기 때문) - 무시무시한 매출 성장을 이뤄낼 수 있는 사업부문 가짐 -> 2000억 달러 정도의 자금을 수개월 안에 현금화 가능 2. Intelligent Cloud - WSL이라는 이름으로 리눅스환경 포용하고 클라우드 투자 전략 크게 성공 - 클라우드 사업으로의 성공적인 전환 - SW시장의 전통적인 초강자 - 완벽한 End To End 솔루션 셋 제공 - 온프레미스와 클라우드를 조합하여 예산에 맞게 하이브리드 구성 가능 - 오픈 플랫폼으로 다양한 OS, DB 언어에 대응 - 강력한 글로벌 데이터 센터 확보 3. More Personal Computing - 현재 윈도우 전 세계 운영체제 시장 73% 점유(성장률4%) - 태블릿 제품 Surface 분야(성장률 23%) - Xbox(성장률 10%) - 코로나 사태 이후로 게임, 서피스(HW)부문 급 성장중 |
Weaknesses 1. Productivity & Business Process - Bing과 MSN이 운영하는 온라인 사업부는 12개월동안 26억 달러 손실 // 구글이 전세계 시장 80% 선점 2. Intelligent Cloud - 애저의 가용성 영역이 부족해 인스턴스 확장 어려움 - 원 드라이브 성능 매우 느림(속도 : 500kb) 3. More Personal Computing - 구형 운영체제의 보안 취약점(Window7) - 스마트폰 시장에서의 윈도우 폰 실패 - MS의 Internet Explorer가 Firefox, Chrome에 점유율 상당히 뻇김 - 서피스프로7 리뷰 : 썬더볼트 미지원, 외부 포트 2개, 키보드 별도 구매로 경쟁력 떨어짐 - 윈도우의 불편한 업데이트 - 낮은 연동성 - 구 시대적 ui, 찾아볼 수 없는 일관성 - Window10의 프라이버시 침해 |
Opportunity - 클라우드 시장의 성장 - 아시아, 세계 AI기술 개발의 중심지 - 코로나 19로 인한 긍정적인 영향 더 큼 -> (검색 광고 매출은 타격을 받았지만, 원격 근무 및 온라인 교육 증가로 협업 툴인 Teams와 MS365, Azure 등 주요 제품들 사용량 크게 증가로 매출 성장 견인) - 기업들의 디지털 전환 트렌드는 코로나로 인해 가속화 -> 종료 후에도 비대면 경제의 확산과 더불어 그 추세는 이어질 것으로 보임 -> 디지털 전환 트렌드 수혜 |
Threats - OS 시장의 동향, 모바일로 전환 -> 가장 많이 쓰인 os : Android - 글로벌 IT 기업 규제 확대 -> 각 국 정부의 규제 확대(과세 방법 모색) |
㉦ 기타 주요 이슈
➔ 11년 전까지 주력 사업 OS인데, 게임 사업부 수입만 오르는 문제가 발생, 모바일 시장의 약진으로 PC를 겨냥한 라인업은 서서히 미래가 어두워져 기업의 펀더멘탈 약화와 함께 주가 하락 ➔ 11년 후 주가 상승(WINDOW7 3억장 팔림) -> 16.06 30조원에 링크드인 인수, 18.06 8.5조원에 Github인수 -> Internet Explorer가 크롬에 점유율 내주고 윈도우 OS가 아이폰 안드로이드에 점유율 뺏기며 성장정체 지속 ➔ 새로운 CEO 사티아 나델라의 지휘 아래 MS오피스를 유연하게 MAC OS, IOS 및 안드로이드에도 출시함으로써 윈도우즈 독점 전략을 폐기함과 더불어, WSL이라는 이름으로 리눅스 환경을 포용하고 클라우드 컴퓨팅에 공격적으로 투자를 한 전략이 크게 성공해 2018년 완벽한 재기에 성공 -> 애저 비롯한 클라우드 부문 매출이 운영체제 부문 매출 뛰어넘음, 2018.11에 20년만의 시가총액 급 상승 -> 1위차지 ➔ 2019.04 애플 아마존에 이어 세번째로 시총 1조 달러 달성 기업 |
* 아직 많이 부족한 기업분석 추가해야하는 내용이나 수정해야하는 내용있으면 언제든지 댓글 달아주세요!
- 추첨을 통해 칭찬 도장 찍어드려요
* 다음 기업은 AMAZON 입니다. ㅎ
4. Google ( Alphabet ) 기업분석 (2) | 2020.12.25 |
---|---|
3. AMAZON 기업분석 (0) | 2020.12.17 |
1. AT & T 기업분석 (0) | 2020.12.03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