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분석

4. Google ( Alphabet ) 기업분석

E_ONION 2020. 12. 25. 22:05

 Product

1. 구글 광고(구글, 유튜브, 검색 광고 등)
- (Android, Search, YouTube, Apps, Maps, Ads)
- 83%

2. 구글 기타(클라우드, 핏빗, 구글 플레이, Maps)
- 16%

3. 신사업(웨이모, 딥마인드, 칼리코, 베릴라, Fiber 등)
- 1%
1. 장점
- 당장 돈을 버는 유튜브와 클라우드로 주가상승의 원동력
- 공격적인 투자를하고 있는 GCP
- 검색 엔진 90% 이상의 점유율
- 브라우저 시장 크롬이 65% 이상 점유
- 모바일 OS 시장 안드로이드가 74% 점유
- 대부분의 서비스를 고객에게 무료로 제공하여 고객의 정보를 데이터화 함
- 코로나로 인한 유튜브, 클라우드 수익 증가
- 공격적인 신사업 투자(미래사업 대비)
- AI를 이용한 SW의 승부, 스마트 자동차 및 집안의 많은 IoT들의 인기로 구글의 독점 시장에  힘을 실어줄 모양임
2. 단점
- 독점이슈 : 검색엔진 및 안드로이드 점유율로 인한 각 국 소송에 벌금 지불 중
- 신 사업의 윤리적 이슈 : 웨이모가 운전기사 대체 가능, 인간수명 증가 시 인구 문제 발생, 양자 컴퓨터 개발 시 전문직 소멸
- 핸드폰에 대한 미련(실패 사례 : 넥서스)
- 뛰어난 검색 엔진으로 인한 개인정보 보호 취약
- 부실한 고객센터, 비정규직 차별
- 구글세 논란(디지털 세 또는 구글 세로 알려진 과세권 논란)

 Customer

  주 고객 특성

1. 구글 광고(구글, 유튜브, 검색 광고 등)

- 구글(검색 엔진)
 기계적 검색으로 세계 어느정보든 동기화 가능으로 세계 각지 정보 필요 고객
 방대한 자료, 빠른 검색 필요 고객
오래된 자료나 낡은 자료 필요 고객
우선순위에 의해 분류한 자료 필요 고객
자료의 공정성을 중시하는 고객
타 사이트 공생으로 많은 자료 필요 고객
무료 고가 정보(위성, 우주 사진)

2. 구글 기타(클라우드, 핏빗, 구글 플레이, Maps 등)
- GCP
 쿠버네티스나 텐서플로우 등 오픈소스로 운영하여 쿠버네티스를 클라우드 방식으로 이용하고 싶은 고객
 타사 대비 가격 경쟁력 높음
오픈 소스, 빅 데이터 APP, ML 벤처 및 클라우드 네이티브 APP에 가장 적합한 옵션
분석 및 머신 러닝에서 타사 대비 경쟁성 있음
- 스타디아
게임유저는 구글 스타디아 통해 유튜브 녹화 및 스트리밍 가능 또한 시청자는 보고 있던 스트리밍의 저장 데이터 이어서 게임 가능
고용량 게임 부담없이 가능, 기기 제약 없음, 핵 어느정도 차단 가능


3. 신사업(웨이모, 딥마인드, 칼리코, 베릴라, Fiber 등)
- 웨이모 
테슬라는 인공신경망에 실제 주행 데이터를 카메라를 통해 끊임없이 학습시키고 웨이모는 라이다와 HD MAP에 의지하여 구글의 AI 기술과 결합

 Financial State

1. 매출, 영업이익, 순이익

[출처] : kr.investing.com/

 - 대체적으로 우상향 곡선 유지하지만 순이익 17년에 감소되고 상승 중

- 16 -> 17년 급변시기 분석
트럼프의 세제개편으로 인한 일회성 세금 이슈로 순이익은 약 30억 달러의 손실 기록 일회성 세금 이슈이기 때문에 주가에 큰 영향을 줄 것으로 판단되지 않음

 Competitor

1. 차별화 전략(차별화 포인트)
- 광고 : 구글의 애드워즈 검색광고로 누군가가 검색모드에 있을 때 가장 잘 작동으로 애드워즈만의 특성을 살려 타겟팅
세부적인 관리를 위해 수동으로 입찰가 조정(첫 페이지 광고 개제, 입찰가 조정)
전환 가능성이 높은 구매자를 유도 키워드 선택
잠재적 구매자를 유도하는 광고 만들기(광고 미리보기 및 진단 도구 활용하여 경쟁업체와 차별화된 광고 설정)
무료 고가 정보, 자료의 공정성, 우선순위에 의해 자료 분류, 오래되고 방대하고 빠른 검색
정밀 타겟팅된 소비자들 다양한 채널(다른 구글 디스플레이 넽웤 사이트)에 지속적으로 광고를 반복 노출하여 강력한 광고 효과 창출(문맥, 관심, 인구 통계, 리 타겟팅)

- GCP : 쿠버네티스나 댄서플로우 등 오픈소스로 운영하여 쿠버네티스를 클라우드 방식으로 이용하고자 차별화
타사 대비 가격 경쟁력
오픈 소스, 빅 데이터 APP, ML 벤처 및 클라우드 네이티브 APP에 가장 적합한 옵션
분석 및 머신러닝에서 타사 대비 경쟁성 갖춤

- 스타디아 : 구글 스타디아 통해 유튜브 녹화, 스트리밍 가능 시청자가 보고 있던 스트리밍 저장하여 데이터 이어 게임 가능
 기기 제약 없음

2. 진입장벽 / 경쟁 우위 전략
- 광고 시장의 압도적인 점유율(구글 광고 애즈워드)

- 모바일 운영체제 시장의 압도적인 점유율(Android)

- 브라우저 시장의 압도적인 점유율(크롬)

- 영상 스트리밍 시장 독주 가능성 큼(유튜브)

- 클라우드 시장 성장 빠름(분석 및 기계학습에 많은 투자, 오픈소스 활용한 클라우드 시스템)

- 타사 대비 경쟁력있는 가격(GCP)

- 대부분의 서비스를 고객에게 무료로 제공하여 고객의 정보를 데이터화 함

- AI를 이용한 SW의 승부, 스마트 자동차 및 집안의 많은 IoT들의 인가로 구글의 독점 시장에 더 힘을 실어줄 모양임

 Future Direction

1. 미래 성장 동력
- 당장 돈을 버는 유튜브와 클라우드로 주가상승의 원동력이 될 것
-> 코로나로 인해 유튜브 의존도 및 사용률 상승

- 클라우드 기반 게임 스트리밍 서비스 '스타디아'

- 자율주행 서비스 '웨이모'

- 인공지능 사업 '딥 마인드'

- IoT 사업 'Nest'

- 칼리코(수명연장 연구)

- 사이드워크(주거 생활, 부동산, 공공 장소, 교통에 대한 서비스 제공)

- 엑스(알파벳의 자회사이자 연구소)

- 직소(기술 인큐베이터 -> 온라인 검열에서 글로벌 과제를 이해하고 기술 솔루션을 적용)

- 베릴리(인간의 건강 탐지 및 감시 프로그램 제작 회사)
2.  진출 시장
- 자율주행차(웨이모)

- 딥 마인드(알파고)

- 칼리코(생명 연장 연구)

- 양자 컴퓨팅

- 구글 글래스

- 룬 프로젝트

- 에너지

- 게임(스타디아 : 온라인 게임 스트리밍)

- 스마트 도시(SideWalk Labs)

- 은행, 여행, IoT

 SWOT

Strengths

- 구글 광고(구글, 유튜브, 검생광고 등)
 영상 스트리밍 시장 독주 가능성 커짐
검색 엔진 : 강력한 웹 로봇, 수퍼 컴퓨터 운용, 페이지 랭크 / 앵크 텍스트, 공정한 검색 결고, 완전 자동화, 타 사이트와 상생, 무료의 고가 정보

- 구글 기타(클라우드, 핏빗, 구글 플레이, Maps_
클라우드 시장 성장 빠름
클라우드 빅 3사 모두 30% 이상 성장 집중
GCP : 분석 및 기계학습에 많은 투자
오픈 소스, 빅 데이터 APP, ML 벤처 및 클라우드 네이티브 APP에 가장 적합한 옵션
스타디아 : 게임 실시간 스트리밍 서비스(오픈게임계의 넷플릭스로 소니 닌텐도 등 콘솔 게임 회사에 위협)

- 신사업(웨이모, 딥마인드, 칼리코, 베릴라, Fiber 등)
자율주행 테슬라와 견주는 웨이모의 공격적인 성장 및 투자
이세돌 구단을 이긴 알파고의 딮마인드
양자 컴퓨터 사업
구글 글래서 기획
룬 프로젝트(전 세계 인구 1/3은 인터넷 사용 x로 인터넷 보급 시도)

- 세계적 기술력 바탕의 다양한 서비스

- IT 패러다임 변화 선도

- IT 검색 엔진 바탕 기업에서 투자쪽으로도 발을 넓힘
Weaknesses

- 구글 광고(구글, 유튜브, 검색 광고 등)
검색 엔진 및 안드로이드 점유율로 인한 각 국 소송에 벌금 지불
뛰어난 검색엔진으로 인한 개인정보 보호 취약
검색엔진 : 기계적 검색(디자인 부실해 보임), 가끔 검색돠는 낡은 자료, 검색 결과의 비분류(카테고리 별로 분류하지 않고 우선순위에 따라 나열), 사용자 DB 취약(자체적 자료 적음), 저작권 침해(강력한 검색 엔진의 결과)
성장성이 20년 2분기에 처음으로 하락세

- 구글 기타(클라우드, 핏빗, 구글 플레이, Maps)
2012년 구글맵스를 갑자기 앱 개발자에게 유료화 함
GCP : 대기업 고객 대응 부족(제한된 서비스)
계약협상에서 매우 엄격, 작은 파트너 생태계
스타디아 : 한국에서 콘솔 게임은 비주류(스타디아는 콘솔게임이 주류)이므로 한국 성향과 잘 맞지않아 한국 제외 출시
인풋랙(반응 속도 느림)

- 신사업(웨이모, 딥마인드, 칼리코, 베릴라, Fiber 등)
➔ 웨이모 : 실제 주행 데이터 부족(학습량 절대적 부족), 전용 하드웨어 부재

- 구글 고객 센터의 부재

- 구글 개인정보 수집 논란

Opportunity

- 현재 클라우드 동향은 한 업체만 사용하는 것이 아닌 여러 클라우드 업체를 동시에 사용하는 하이브리드 클라우드가 대세
업체 종속성 피하고 단일 클라우드의 보안과 가용성을 확보하기 위함
그로므로 서브 클라우드의 시장도 생기기 때문에 아무리 MS, AMAZON의 클라우드 점유율이 높을지라도 구글에게도 기회가 생길 것으로 전망

- 삶의 변화를 이끌 자율주행차(구글의 날개가 될 수도 있고 발목을 잡을 수도 있음)

- 저렴해진 벨류에이션
주가가 내려감으로써 벨류에이션도 매력적인 구간으로 변모
코로나가 잡힌다면 유튜브, GCP, 자율주행차 3박자 성장 모멘텀 예상

- 온라인 광고 시장의 급성장

- 높은 스마트폰 보급률
Threats

- 디지털 광고 수익둔화 우려 때문에 주가 하락
구글 광고 매출의 20%가 여행 부문인데 코로나 여파로 여행산업 자체가 좋지 않은 상황

- 글로벌 IT 기업들에 대한 규제 강화

- 추진 사업의 불확실성

- 검색 엔진 및 안드로이드 점유울로 인한 각 국 소송에 벌금 지불

 기타 주요 이슈

➔ Calico(고령화 관련 질병 퇴치 및 안티에이징 목표로 하는 생명공학 연구 기업)
Nest(스마트 온도 조절의 사물 인터넷 기업, 스마트 홈 시스템에 손 뻗음)
Google Fiber(인터넷 망 관련 회사)
Google X(알파벳의 비밀 연구 기업, 로봇, 자율주행 등)
Google Ventures(신규회사 투자, 벤처에 투자)
Google Capital(장기적 기술 트렌드 투자 대규모)
SideWalk Labs(스마트 도시 프로젝트)
2005년 안드로이드 600억원 인수
2006년 유튜브 2조원에 인수

* 아직 많이 부족한 기업분석 추가해야하는 내용이나 수정해야하는 내용있으면 언제든지 댓글 달아주세요!

- 추첨을 통해 칭찬 도장 찍어드려요

 

* 다음 기업은 APPLE 입니다. ㅎ